상상조차 어려운 큰 수
구골플렉스(googolplex)라는 수(number)의 단위가 있다. 10의 구골 제곱(10구골)을 나타내는 수인데, 이때 구골 이라는 수는 10의 100제곱을 뜻한다. 구골플렉스를 숫자만 사용해서 제곱 형태로 표기하면 10의 위첨자로1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 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,000 가 된다. 구골플렉스가 얼마나 큰 숫자이냐 하면, 제곱 사용 없이 자연수만으로 표기하고자 숫자 0을 1초에 1개 속도로 적는다면, 모두 적는데 우주 나이(138억년)보다 더 긴 시간이 필요할 정도이다.
인터넷 검색엔진 구글(google)이 자신의 검색결과가 구골(googol) 수만큼 많다는 의미로 회사이름을 구골로 짓고자 했다는 일화도 전해진다.
상상조차 어려운 작은 수
구골플렉스처럼 큰 숫자를 나타낼 수 있는 단위가 있다면, 아주 작은 숫자 단위도 있다. 현대 과학기술에서 자주 사용되는 나노기술이라는 용어에서의 나노(10-9)가 대표적이다. 1m 의 십억 분의 일 정도의 크기를 다루는 기술이라는 뜻이다.
짧은 시간을 일컫는 말은 어떨까? 우리가 무심결에 사용하는 순식간이라는 시간은 10-16 초이며, 찰나는 10-18 초이다. 그러므로, 아무리 짧은 시간이라 하더라도 순식간이라는 시간은 찰나의 시간과 비교한다면 100배나 더 긴 시간 간격이다(10-18 x 100 = 10-16). 어떤 생명체가 순식간 동안 살다 사라진다면, 그 생명체는 찰나의 시간 동안 살다 간 다른 어떤 생명체보다는 100배 더 긴 시간 동안 존재했던 것이다.
삶의 시간
만약 우리 인간의 삶이 구골플렉스의 시간만큼 주어진다면, 과연 100년의 삶보다 더 축복받은 것일까? 단 하루를 산다는 하루살이는, 혹은 7년을 땅속에서 유충 상태로 있다가 겨우 7일을 성충으로 살다 간다는 매미는 얼마나 더 오래 살고 싶어 할까?
구골플렉스처럼 긴 시간도, 찰나처럼 짧은 순간도 시작과 끝은 있다. 존재의 의미는 시간의 길이에 있는 것은 아닐 것이다. 자, 지금 이 순간, 그 시간을 어떻게 채워갈 것인가.
@ moowoolbiz
[더 알아보기]
** 구골플렉스
구골플렉스는 10의 구골 제곱을 의미하는 초거대 수이다. 즉 1 뒤에 0이 구골 개만큼 붙어 있는 수이다. 숫자 구골은 10의 100제곱이므로, 구골플렉스는 10의 '10의 100제곱' 제곱인 것이다. 우리 우주 전체의 수소(H) 원자 개수가 10의 80제곱 개 내외로 추정되므로, 우주에 있는 모든 수소 원자 하나 마다 0을 적는다고 했을 때 수소 원자 개수가 부족할 만큼 말 그대로 우주적으로 큰 수이다.
** 큰 숫자 단위
한국말의 큰 숫자 단위는 아래와 같다.
명칭 | 크기 |
일 | 10의 0제곱 |
십 | 10의 1제곱 |
백 | 10의 2제곱 |
천 | 10의 3제곡 |
만 | 10의 4제곱 |
억 | 10의 8제곱 |
조 | 10의 12제곱 |
경 | 10의 16제곱 |
해 | 10의 20제곱 |
자 | 10의 24제곱 |
양 | 10의 28제곱 |
구 | 10의 32제곱 |
간 | 10의 36제곱 |
정 | 10의 40제곱 |
재 | 10의 44제곱 |
극 | 10의 48제곱 |
항하사 | 10의 52제곱 |
아승기 | 10의 56제곱 |
나유타 | 10의 60제곱 |
불가사의 | 10의 64제곱 |
무량대수 | 10의 68제곱 |
** 작은 숫자 단위
한국말의 작은 숫자 단위는 아래와 같다.
명칭 | 크기 |
푼 | 10의 -1제곱 |
리 | 10의 -2제곱 |
모 | 10읠 -3제곱 |
사 | 10의 -4제곱 |
홀 | 10의 -5제곱 |
미 | 10의 -6제곱 |
섬 | 10의 -7제곱 |
사 | 10의 -8제곱 |
진 | 10의 -9제곱 |
애 | 10의 -10제곱 |
묘 | 10의 -11제곱 |
막 | 10의 -12제곱 |
모호 | 10의 -13제곱 |
준순 | 10의 -14제곱 |
수유 | 10의 -15제곱 |
순식 | 10의 -16제곱 |
탄지 | 10의 -17제곱 |
찰나 | 10의 -18제곱 |
육덕 | 10의 -19제곱 |
허공 | 10의 -20제곱 |
청정 | 10의 -21제곱 |
아라야 | 10의 -22제곱 |
아마라 | 10의 -23제곱 |
열반적정 | 10의 -24제곱 |
'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라이프 게임: AI도 생명체가 될까? (1) | 2025.05.11 |
---|---|
플랑크 시간: 플랑크 시간만큼 살 수 있다면 (1) | 2025.05.09 |
여름과 겨울: 우리는 서로 충분히 가까운 거리에 있다 (0) | 2025.05.02 |
불확정성 원리: 양자역학이 알려주는 사랑의 법칙 (0) | 2025.05.01 |
열역학법칙: 의지의 방향으로 내딛는 노력 (0) | 2025.04.30 |